Tag: 제약산업

2020 글로벌 MICE산업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 글로벌 MICE산업 트렌드 분석 및 전망 글로벌 MICE산업은 2020년을 앞두고 대내외적으로 발생한 다양한 변화에 대응해왔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의 기저 속에서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보호무역주의 확대로 인한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의 약화로 이어졌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경제의 구조조정(Restructuring), 차세대 동력산업 발굴을 위한 민간과 각국 정부의

관련 산업의 주요 동향

Cover Story_[2] 관련 산업의 주요 동향   다양한 산업군과 연관된 MICE산업의 산업별 주요 트렌드 및 변화 동향 파악 MICE산업은 ‘수직적’으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마케팅이나 광고 같은 창조적 산업 분야와 마찬가지로, MICE 시장은 다양한 사업 분야에 걸쳐 있다. 따라서 MICE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트렌드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다른 산업의 주요 동향 및 트렌드 이슈를

글로벌 MICE산업 현황과 전망

2018년 세계 경제는 말 그대로 다사다난한 변화를 겪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에 따른 기술의 진보가 시대의 변화를 주 도하는 가운데 미국의 보호주의로 발발한 각 국간 통상마찰 브렉시트를 둘러싼 유럽의 균열 신흥국의 외환위기 등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지난 2009년 이후 지속되어 온 세계 경기 회복세가 꺾이기 시작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인포마, 세계 2위 전시주최사 UBM 인수 전략

2018년 6월, 세계 굴지의 글로벌 전시 주최사인 인포마와 UBM이 하나가 되었다. 전시사업부 매출액 기준 세계 4위인 인포마(Informa) 그룹이 세계 2위인 UBM 그룹에 대한 인수절차를 완료함으로써 UBM은 인포마 그룹의 자회사가 된 것이다. 이로써 새롭게 탄생한 인포마 그룹은 리드엑시비션스(Reed Exhibitions)를 누르고 세계 1 위 규모의 전시 사업부를 갖춘 ‘국제 B2B 지식·정보 서비스

2018 MICE산업 트렌드와 전망-① 2017-2018 글로벌 경제 분석, ② 산업별 미팅·이벤트 전망

    Contents I. 2017-2018 글로벌 경제 분석 II. 산업별 미팅·이벤트 전망 III. 2018 MICE산업 트렌드와 전망   I. 2017-2018 글로벌 경제 분석   불안정에서 안정체계로 향하는 글로벌 경제 2017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전 세계 경제성장률이 2016년과 2017년 각각 3.2%, 3.5%를 기록하였고 2018년은 3.6% 일 것이라고 국제통화기금(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은

화학 및 제약산업 특화 컨벤션도시, 뒤셀도르프와 마인츠

  독일은 투자, 세일즈 뿐만 아니라 R&D 지출규모 등 다방면에서 유럽 제 1의 화학산업 국가라 할 수 있다. 세계 최대의 화학제품 수출국인 독일은 바이엘(Bayer), 바스프(BASF) 등 세계적인 화학 및 제약회사를 보유하고 있다. 오늘날 독일의 화학산업이 발전하게 된 데에는 화학공원(Chemical Parks)이 크게 기여하였다. 독일의 화학공원은 독일소재 타 화학공원은 물론, 유럽 전역의 원유, 천연가스, 나프타(Naphtha:

위로 스크롤